상장례는 사회의 전반적인 구조적 변화 과정 속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(社會的) 기능(機能)을 담당 한다.
망자(亡者)의 시신을 깔끔하게 처리해 주는 기능이다.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나 각 가정은 편안히 안녕과 질서를 유지해나갈 수 있게 되며, 특히 보건 위생적 안전을 도모하면서 건강한 일상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게 된다.
고인의 혼을 위무함으로써 살아 있는 사람들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기능이다. 즉 살아있는 사람들은 고인의 혼을 위무하는 상장례의 의식을 통해서 심리적 안정감 내지 편안함을 획득함과 동시에 두려움을 극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.
죽음에서 오는 충격을 완화해 주는 정신적 및 물질적 도움의 기능과 이를 통한 사회공동체의 결속강화 기능이다. 정신적 및 물질적 도움의 기능은 상장례의 중요한 역할이다. 그리고 이러한 상부상조를 통해 충격에 빠진 유가족들은 슬픔과 고통에서 벗어나 정상을 회복하게 되고, 이를 통해 집단과 사회는 다시 결속되어 그 질서를 유지해 나가게 된다.
인간의 죽음에 의미를 부여하는 상장례는, 상주 또는 가족구성원들이 고인의 죽음에 대해 일정한 슬픔을 표현하고 시신을 처리한 후 일상생활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필요한 의례이다. 이 경우 상장례는 인간의 죽음이 단지 개인의 육체의 소멸로 끝나지 않고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죽음이 되도록 하면서, 죽음을 사회적으로 확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.
상장례는 살아 있는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일깨우게 하는 각성의 시간이 되기도 한다. 즉 죽음을 간접 체험함으로써 죽음준비교육의 기능을 수행한다. 또한 상장례는 그 사회의 기본가치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의례이므로 서열이나 위계 등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예절이나 질서의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기도 한다.